본문 바로가기

카메라는 장난감/내게 사진이란

빛, 공간, 선, 구도.. LCDF, 내겐 어려운 숙제

 

 

 

 

남들

빛이다.. 공간이다.. 패턴이다..

잘도 담아 내시는데

 

내 눈엔 아직도 안보인다

 

 

 

 

 

내게 사진이란 어려운 숙제이다

 

과외선생을 구해야하나??

*^^*

 

 

 

 

 

 

1

 

 

 

 

 

2

 

 

 

 

 

 

3

 

 

 

 

 

 

4

 

 

 

 

 

 

5

 

 

 

 

 

 

6

 

 

 

 

 

 

7

 

 

 

 

물리적 LCDF : 촬영을 할 때 명심해야 할 요소

 

- L : 빛(light), 사진을 찍을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빛이고 또 그림자이다. 이것들은 한 몸이다. 빛이 감싼 어둠이고, 어둠이 감싼 빛이다. 사진은 빛으로 시작해서 빛으로 끝이 나고, 어둠으로부터 생성되어 어둠으로부터 소멸한다. 빛과 그림자를 제대로 불 수 있을 때 세상의 위치 및 관계, 조화, 균형을 파악할 수 있다.

 

- C : 색(color), 사진에서 빛이 형상을 만드는 형태의 근간이라면, 색은 빛을 통해 본질에 다가서게 하는 이성과 감정의 그물망이다. 사진에서 색이 중요하고 색을 제대로 보아야 하는 이유는, 결국 색을 통해 내용에 다가서고 색을 통해 감정의 울림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화려한 컬러만 색이 아니라 검은 색, 흰 색도 색이다. 사진을 색을 통해 피어난다.

 

- D : 조형(design), 빛과 그림자 그리고 색이 하나의 메시지로 다가서기 위해서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 구성의 철학을 조형이라고 한다. 조형의 핵심은 세상의 아름다움과 질서와 조화로움을 결정하는 디자인의 힘이다. 사진에서 구도는 바로 이 구성의 하부 요소이며, 구성의 더 큰 의미망은 바로 디자인이다. 사진은 제대로 된 디자인 앞에서 비로소 위력을 발휘한다.

 

- F : 프레임(frame), 사진은 결국 프레임으로 말하고 말해진다. 좋은 사진, 훌륭한 작품은 프레임을 결정짓는 능력과 자질로 판가름 난다. 빛, 색, 조형 그 모두는 종국에 가서 한 장, 한 컷, 한 신(scene)이라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완성된다.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프레임이다. 여기에 모든 것이 걸려 있다.

 

 

   정신적 LCDF : 철학적, 사유적, 개념적 측면에서의 사진이론

 

- L : 바라봄(looking), 이 때의 바라봄은 그냥 눈으로 바라보는 seeing과는 다르다. 사유가 있는 바라봄이자 작은 것까지, 볼 수 없는 것까지, 말해질 수 없는 것까지 볼 수 있는 인식의 바라봄이다. "볼 수 있을 때 겨우 보일까 말까 한다"는 말이 여기에서 나온 것이다. 사진은 그렇게 볼 수 있을 때 비로소 보이고, 볼 수 있을 때 찍을 수 있다.

 

- C : 선택(choice), 사진은 어떤 경우든 선택이다.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선택 행위이고 선택을 통해서 메시지가 드러난다. 따라서 사진의 선택은 보았던 것들, 보인 것들, 보여진 것들이 사진을 통해 표현되는 '메시지의 장(場)'이다. 좋은 사진은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데 주제와 소재, 그리고 대상을 분명하고 확실하게 선택한 결과물이다.

 

- D : 연출(directing), 여기서 말하는 연출은 흔히 말하는 나쁜 의미로서의 왜곡이나 조작이 아니다. 사진가가 주제, 소재, 대상 앞에서 모든 것을 통제하고 예견하고 구성하고 이미지를 서사화하는, 영화의 연출과 같은 고차원의 행위이다. 현대사진이 연출 능력을 중요시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단순히 찍는 것을 넘어서 사진의 모든 것을 기획하고 작품화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연출력이다.

 

- F : 프레임(frame), 물리적 프레임처럼 정신적 프레임도 한 장, 한 컷, 한 신으로 나타나는 사진만의 프레임이다. 그러나 물리적 프레임과 달리 정신적 프레임은 눈과 마음으로 미리 지각한 정신과 인식의 장면이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은 '렌즈는 눈의 연장이다'라고 말했는데 이 때의 '눈'이 바로 정신적 프레임이다. 세상의 모든 사진은 결국 눈과 마음의 프레임이 카메라 렌즈의 프레임을 빌려 표현된 것이라고 해도 좋다.

 

<사진가의 여행법> 19-24 쪽,  진동선 사진 찍고 쓰다. 북코스프


 

 

빚 아니 빛 속의 Kenny

 

 

어려운 숙제..

걍~ 숙제 안하고 BJR(배째라~)

 

 

 

 

 

 

 

 

내게 사진이란?

 

내 마음을 담는 도화지                    http://blog.daum.net/kenkorea/8763234

끊임없는 공부이다(HDR 따라잡기)    http://blog.daum.net/kenkorea/8763240

삐닥함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3194

끊임없는 나와의 싸움, timelaps      http://blog.daum.net/kenkorea/8763158

                                                        내게 B컷은 Best 컷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3046                                                        

무한 상상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3037

기다림과 설레임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973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끈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964

나를 읽어주기 바람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826

No 스트레스 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858

나를 나타내는 언어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843

틀림이 아닌 다름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801

열정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779

꿈이며, 고민의 대상이다                  http://blog.daum.net/kenkorea/8762756

 

 

 

 

 

 

 

'카메라는 장난감 > 내게 사진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매쟁이  (0) 2013.07.04
날고 싶니? 뚱딴지같이..  (0) 2013.06.15
사진은 내 마음을 담는 도화지  (0) 2013.03.07
HDR 쉽게 따라하기(Photomatix)  (0) 2013.01.30
삐닥하게...   (0) 201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