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ny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느낀
부산 감천문화마을 이야기
불안한 잠 - 달콤한 인생 사운드트랙
감천문화마을은 1950년대 태극도 신앙촌 신도와 6.25 피난민의 집단거주로 형성
현재까지 부산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산자락을 따라 질서정연하게 늘어선 계단식 집단 주거형태와
모든 길이 통하는 미로미로 골목길의 경관은 감천만의 특별함을 보여준다
감천의 이런 특색과 역사적 가치를 살리기 위해
지역 예술인과 마을 주민들이 모여 시작한 프로젝트로 문화마을이 탄생했다
현재 연간 약 5만명이 방문하는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감천문화마을 홈페이지 참고)
그랬다
Kenny 역시 부산에 가면 무조건 이곳을 둘러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알록달록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한국의 산토리니 혹은 마추픽추로 불리며
많은 관광객들이 모여드는 특별한 곳
관광버스로 단체관람을 오고
외국인들도 많이 찾는
부산 제1일의 명소
실제로
Kenny가 다닌 여행지 중
가장 많은 관광객이 있던 곳이었다
특히 사진사라면 빠지지 않고 방문하는 공간
사진사가 아니더라도
카메라가 있는 사람이라면
여기저기 사진을 담느라 바쁜 곳
골목마다 보이는 꽃
많은 벽화와 조형물
그 앞에서
연인, 가족, 친구들은 재잘거리며 웃고 떠들며
사진을 담아 추억을 간직한다
그러나
이제는 대도시에서 쉽게 볼 수 없는
금간 담벼락, 빛바랜 칠
엉성한 빨랫줄과 낡은 쓰레트 지붕
과연
이 곳을 찾는 젊은이들에게 향수를 자극할 만한 것들일까?
골목에서 쉽게 보이는 곳은
컬러풀한 색으로 꾸며놨지만
그 너머의 색을 보았는가?
전망대 위의 많은 관광객들은 이곳 감천마을을
내.려.다.보.며
어쩌면
우.쭐.대.고
있을지 모른다
관광사업, 동네개발사업, 마을미술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물론, 마을사람들 모두가 찬성했겠지만)
어찌보면
균형(?)있는 개발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동인구가 늘고
기념품가게 등으로 돈벌이가 된다하더라도
그 곳에서 넉넉치 못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알록달록한 건물색만큼 희망이 나눠지고 있을까?
성큼성큼 남의 집앞, 현관앞까지 다니는 수 많은 발걸음들
감천동 사람들은 밝은 대낮에도 창문을 열 수 없다
관광객들에게는 예쁜 파스텔톤 색 계단이지만
감천동 사람에게는 힘들고 가파른 계단길일 뿐이다
어둑어둑 땅거미가 내려 앉아도
관광객은 물밀듯이 몰려든다
우범지대였다는 이 곳이
'사람 살 수 있는 곳(?)'으로 발전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나
가족과 도란도란 살 수 있는
자기만의 영역(쉼터)으로써의 의미는 실종된 곳이라고 생각된다
Kenny는 이곳을 방문하기 전에
감천마을을 알록달록 예쁜 파스텔색으로 보정해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파스텔톤 이쁜 감천마을보다는
고립, 외로움, 힘듬, 고단의 느낌을 더 강하게 받았다
겉은 컬러색이지만
그들의 영역은 아직도 흑백이기 때문이다
한번 쓰~윽 하고 지나간 Kenny라 많이 알지 못한다
다만, Kenny 느낌이 그러했다는 것
골목골목마다 수많은 이야기가 들려오는 감천문화마을
이 곳은 분명 사진담기에, 관광하기에 좋은 곳임엔 틀림없다
그러나
관광객들은
거주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조금 사려깊게 행동했으면 한다
감천마을 만세 @부산 감천마을
2013.11.23
'아름다운 사계절 > 눈밭 겨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가다리밑 풍경, 도란도란길 (0) | 2013.12.21 |
---|---|
겨울 맛보기 (0) | 2013.12.17 |
해가 저무는 순간 내가 할 수 있는 건, 단 하나 (0) | 2013.03.18 |
봄이 왔어요, 겨우내 무거운 짐 다 벗어 버리고.. (0) | 2013.03.01 |
봄이 왔다던데, 어디쯤 왔니? (0) | 2013.02.26 |